목록형 기본게시판
총 35건, 현재페이지 (1페이지 / 총 1페이지)
번호 | 시대별 | 인물명 | 설명 |
---|---|---|---|
35 | 대한민국 |
제정구 (1944∼1999) |
도시빈민의 대변인으로 불리는 빈민운동가 출신의 국회의원으로서 1944년 경남 고성 출생이다. 1966년 서울대 정치학과에 입학하면서 민주화운동에 뛰어... |
34 | 대한민국 |
벽산 김정실 (1904∼1969) |
벽산 김정실 선생은 거류면 은월리 출신으로 가난한 소작인의 아들로서 항상 가난한 이웃을 생각하여 살아오신 분으로 가난한 사람들과 청렴한 공직자로서 한... |
33 | 일제강점기 | 김진만 | 본적은 고성군 고성읍 동외리 93번지 이다. 1913년 3월 대한독립만세의 함성이 전국 방방곡곡에 메아리쳐 민족항쟁의 봉화가 오른지 19여일 마침내 ... |
32 | 일제강점기 |
세천 허종택 (洗川 許宗澤) - 독립지사 |
고성군 마암면 장산리의 토호로서 자는 성소(聖昭), 호는 세천(洗川), 본관은 김해이다. 끊임없는 왜세에 시달리면서도 조상 대대로 지속해온 땅을 지키... |
31 | 일제강점기 |
벽산 이덕수 (碧山 李德秀) |
이덕수의 호는 벽산, 본관은 고성이다. 독립운동가로 신흥무관학교 통화분교의 교장을 역임하였고, 1925년 정의부(正義府)를 조직하여 중앙위원으로 있다... |
30 | 일제강점기 |
진형재 행장 (陳亨載 行狀) |
고성군 상리면 오산리 출신으로 형재(亨載)공의 자는 사흥(士興) 본관은 여양(驪陽)이며 조선 선조 때의 학자인 극경(克敬) 백곡(백谷)선생의 7대 손... |
29 | 일제강점기 |
조선물산운동 정세권 (朝鮮物産運動 鄭世權) |
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서 태어난 정세권은 일제가 침략하여 식민통치할 때 초대 하이면장으로 임명되어 면치행정(面治行政)을 맡아보았으나 일제의 주구 노릇... |
28 | 일제강점기 |
최정원 (崔正元) - 독립지사 |
본적은 고성군 구만면 화림리 465이다. 기미년 3월 중순 독립선언문을 입수한 최정원과 허재기는 고성 지방 의거를 모의하였고, 한학자 의제 이종홍에게... |
27 | 일제강점기 |
무관학교와 천재환 (武官學校와 千載桓) |
야소교집자(耶蘇敎執者)인 천재환은 1918년 6월경 김영철, 조강제로 하여금 상해와 봉천성(奉天省) 류하현(柳河縣) 신흥학교 또는 독립단에 보내는 일... |
26 | 일제강점기 |
상해가정부 군자금과 구기언 (上海假政府 軍資金과 具奇彦) |
구기언은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401번지 출신으로 상해가정부 군자금 모집에 활약한 유공자이다. 한국시대 후능참봉(厚陵參奉)과 비서승(秘書承)으로 있던... |
25 | 일제강점기 |
초월대선사 백인영 (初月大禪師 白寅榮) |
우리 향토 고성이 낳은 초월선사의 위는 인영(寅榮), 호는 구국당(龜國堂) 수원백씨로 법명은 초월이다. 1878년 2월 17일 경남 고성군 영오면 성... |
24 | 일제강점기 |
노정 배만두 (露丁 裵萬斗) - 독립지사 |
노정 배만두 옹은 한말(韓末)에 국운이 날로 쇠퇴하고 침략자 일제의 야욕은 날로 노골화하여 암운이 감도는 1896년 고성에서 태어났다. 그는 일찍부터... |
23 | 일제강점기 |
임치수 (林致洙) |
당시의 해인사는 대한불교의 교세를 주도하는 사찰이었고 그 무렵의 주지 이회광은 친일파로서 큰 세력을 누리고 있어 해인사 경내에 설치된 해인보통학교 및... |
22 | 일제강점기 |
의열단과 김관제 (義烈團과 金觀濟) |
고성군 개천면 명성리 출신으로 비밀결사인 의열단(義烈團)에서 활약하면서 조선과 일본에 있는 애국지사들과 연락을 취하고 독립자금을 모집하였다. 일본의 ... |
21 | 일제강점기 |
성암 허종덕 (省庵 許宗德) |
고성의 유일한 구한말(舊韓末)의 생존 유학자였던 공은 90세를 일기로 1979년 7월 2일 세상을 떠나셨다. 대대로 살아온 고향 고성군 마암면 장산리... |